안녕하세요~
오늘은 언어장애의 원인 중 하나인 신경언어 장애 중
우리 몸에서 문제가 생기면 언어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신경계 및 기관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언어재활사 공부를 하시는 분에게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중추신경계
1. 세포
중추신경계 세포는 보통 아교세포와 신경세포(뉴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교세포는 신경세포와 신경섬유로를 지지하고 수분조절을 하는 역할을 하고
신경세포는 뉴런이라 불리며 감각, 행동, 감정, 근육, 분비샘의 활동 등을 합니다.
또한 신경세포의 크기는 모두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구조는 동일합니다.
2. 뇌
(1) 대뇌
대뇌는 3/4는 수분으로 되어있으며 나머지 1/4는 아교세포(500~1000억개), 뉴런(100억개), 연결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간의 전체 몸무게의 2%나 차지하지만 신체 전체 산소소비량의 25%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대뇌 중 대뇌세로열에 의해 오른쪽, 왼쪽으로 두 반구로 나뉘며
대뇌 중심열 또는 중심구는 대뇌 반구를 옆에서 보았을 때 세로로 내려오며 앞쪽과 뒤쪽으로 나뉩니다.
대뇌 외측열은 대뇌 반구를 옆에서 보았을 때 가로로 가로지르는 열입니다.
대뇌에는 브로드만 영역이 있는데
우리는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영역만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전두엽은 말 운동의 영향을 미치는 영역이고 다른이름으로는 브로카영역이라고도 불립니다.
위치는 하전두회에 있으며 번호는 45,44번이라 지칭합니다.
다음으로 두정엽은 글을 눈으로 보고 읽기 위한 시각의 영향을 미치며 5, 7번에는 상두정엽으로 시각운동,
시각, 읽기, 말에 영향을 미치며 하두정엽에 위치한 39, 40번인 각회랑 모서리위이랑은
지각, 시각, 읽기, 말에 영향을 미칩니다.
다음으로 측두엽은 말을 듣고 이해하기 위한 영역으로 특히 22번 상측두회에 위치한 뒤쪽 베르니케 영역
다른 말로 청각연합영역으로 듣기와 말 이해의 영향을 미칩니다.
(2) 간뇌
간뇌는 뇌 속에 위치하고 있고 시상과 기저핵으로 구분되어 위치합니다.
시상은 계란모양의 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운동정보와 감각정보가 경유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또한 기저핵은 대뇌피질에서 나오는 정보를 받거나, 시상을 거친 정보를
다시 대뇌피질로 보내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기저핵이 손상되면 영역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수의적인 움직
임이 적어져서 불수의적인 움직임이 나타납니다!
(3) 소뇌
대뇌를 축소시킨 듯한 것 처럼 생겼으며, 소뇌 또한 2개의 반구를 갖고 있습니다.
움직임의 속도, 범위, 방향, 힘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소뇌가 손상되면 움직임이 서툴러지는 실조증 상태를 보입니다!
(4) 뇌간(뇌줄기)
뇌와 척수 사이에 위치하며, 둘 사이를 연결해주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뇌간은 호흡과 심장박동 수를 조절하기 때문에
뇌간의 손상이 생기면 심장박동, 호흡 등의 생명과 관련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합니다.
(5) 뇌실
뇌에는 4개의 뇌실이 있습니다.
가쪽뇌실(측뇌실)은 대뇌 내부에 있고 좌우 2개 대칭으로 구성되며 뇌실 사이 구멍을 통해 서로 연결
제 3뇌실과도 연결됩니다.
제3뇌실은 뇌실사이 구멍을 통해 가쪽뇌실과 교통하며, 중간뇌수도관을 통해 제 4뇌실과 연결됩니다.
제4뇌실은 소뇌와 뇌간(뇌줄기)로 둘러싸여 있으며 중간뇌수도관을 통해 제3뇌실과 교통합니다.
말초신경계
1. 뇌신경
뇌에서 나와서 주로 머리와 목 위의 부위에 감각 및 운동을 담당하고,
12쌍의 좌우대칭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중 의사소통과 직결되는 뇌신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뇌신경 번호 5번인 삼차신경은 얼굴 감각이며 저작활동 및 인두운동 역할을 하고
조음, 공명에 영향을 미칩니다.
뇌신경 번호 7번인 안면신경은 혀 앞 2/3을 미각하며 얼굴운동 역할을 하고
조음에 영향을 미칩니다.
뇌신경 번호 8번인 전정신경은 평형 및 청각 감각이며
청각에 영향을 미칩니다.
뇌신경 번호 9번인 설인신경은 인두운동과 혀 뒤 1/3미각, 경구개, 인두부분을 감각하고
조음과 공명 그리고 호흡의 영향을 미칩니다.
뇌신경 번호 10번인 미주신경은 후두, 인두, 폐(내장)운동 역할을 하며
발성, 공명, 호흡에 영향을 미칩니다.
뇌신경 번호 11번인 부신경은 후두, 가슴, 어깨 운동역할을 하며
호흡의 영향을 미칩니다.
뇌신경 번호 12번인 설하신경은 혀뿌리 운동 역할을 하며
조음에 영향을 미칩니다.
정리하면
호흡은 9, 10, 11번 신경에 영향을 받고
발성은 10번
조음은 5, 7, 9, 12번
공명은 5, 9, 10번
청각은 8번 신경에 영향을 받습니다.
즉 설인신경이 손상되면 인두올림에 문제가 생겨 과다비성, 비강역류가 유발되고
미주신경이 손상되면 후두, 기관의 정보가 전달되지 않고 성대마비와 같은 음성장애가 관찰되며
설하신경이 손상되면 동측 혀 위축으로 인해 혀가 동측으로 기웁니다.
'아동발달·육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실행증 특징과 유형 및 치료 (1) | 2019.09.29 |
---|---|
마비말장애 유형 특징 및 치료 (0) | 2019.09.28 |
[신경언어장애] 실어증의 특징 및 치료 (0) | 2019.09.27 |
언어장애의 신경학적 원인 및 진단방법 (0) | 2019.09.27 |